구자근 國會議員,
구미시 KTX 이음 전철 수서 - 구미역 정차 청신호 !
KTX 이음 전철 수서 ~ 동대구 1 일 7 회 운행 , 구미 KTX 역 정차 청신호
- 구자근 의원 , 문경 ~ 김천 철도건설 사업 KDI 예비타당성보고서 자료 공개
구미 국가산업단지 , KTX 이음 전철을 통한 수도권 및 대구 접근성 강화
- 철도사업으로 14,294 명 고용효과 , 경북 ( 지역낙후도 13 위 ) 교통 편의 개선
문경 ~ 김천 철도건설 사업 추진으로 중부내륙선 ( 이천 ~ 문경 ) 과 남부내륙선 ( 김천 ~ 거제 ) 간 단절구간이 해소됨에 따라 서울 수서에서 동대구로 하루 7 회 열차가 운행하게 되어 구미역 KTX 이음 정차를 위한 사업추진을 위한 청신호가
켜졌다 .
문경 ~ 김천 철도건설 사업은 지난해 22 년 11 월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했다 .
구자근의원 ( 국민의힘 , 경북 구미시갑 ) 은 「 문경 ~ 김천 단선전철사업 」
의 KDI 의 예비타당성조사 결과보고서 (2023.1) 를 확보하고 세부 사업검토
내역을 밝혔다 .
KDI 의 예타결과보고서에 따르면 「 문경 ~ 김천 단선전철사업 」 의 사업
연장은 70km, 총사업비는 13,069 억원으로 당초 대비 열차운영 효율성 등을
감안해 기존선 활용 구간 증대와 열차운행계획 변경 등이 이뤄졌다
열차운행계획의 경우 당초 운행횟수 30 회 / 일 ( 수서 ~ 김천 28 회 ,
수서 ~ 거제 2 회 ) 에서 15 회 / 일 ( 수서 ~ 동대구 7 회 , 송도 ~ 김천 2 회
수서 ~ 김천 6 회 ) 로 변경하여 열차운행횟수와 시 ․ 종착역 등이 변경되었다
당초 수서 ~ 김천간 운행 (28 회 ) 에서 수서 ~ 동대구 (7 회 ) 편성이 추가됨
에 따라 KTX 이음이 구미역을 통과함에 따라 구미국가산단과 통합신공항에
대한 교통접근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
문경 ~ 동대구 내 이용수요는 2028 년 기준 5,215 명 / 일로 추정되었다 .
예비타당성 분석을 통해 수서 ~ 문경 ~ 김천 ~ 거제 간 한반도 내륙철도망의
마지막 단절구간 (Missing Link) 인 문경 ~ 김천 단선전철 사업을 조속히
추진함으로써 국토 내륙간선축이 완성되며 , 건설을 통해 14,294 명의 건설
중 고용유발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했다 .
또한 분석자료를 통해 한반도 준고속철도망의 완성을 통해 주요 도시간 고속
이동서비스가 제공되어 지역소멸 위기 극복 및 삶의 질 향상 , 철도 중심의
국가교통체계 구축으로 이동편의성이 크게 증진되는 것으로 전망했다 .
뿐만 아니라 고속철도망 구축으로 인한 도로교통량 감소와 디젤기관차의
전기동차 전환으로 연간 7,070 톤 수준의 CO2 가 저감될 것으로 분석했다 .
특히 경상북도는 16 개 시ㆍ도별 지역낙후도에서 13 위로 하위권에 속하는데
전국적으로 약 2 조 2,546 억원의 생산유발효과와 약 9,024 억원의 부가가
치유발효과 , 약 14,904 명의 고용유발효과 , 약 16,978 명의 취업유발효과
가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하고 , 파급효과의 약 66~77% 가 경상북도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예상했다 .
국토교통부는 문경 ~ 김천 철도건설 사업을 빠르게 추진하기 위해 '23년 초
기본계획 수립에 착수하여 '24 년부터 기본설계 , 실시설계를 거쳐 이르면
'26 년에 착공할 계획이다 .
구자근의원은 “ 예비타당성조사를 통해 사업계획이 변경되어 동대구역까지
노선이 변경되어 구미에도 KTX 이음이 통과하게 된 점에 대해 적극 환영한다
고 밝혔다 .
또한 구자근 의원은 “ 구미역 KTX 역 정차역 확정의 경우 전철 건설사업의
최종단계에서 결정되는만큼 구미 국가산업단지의 교통수요와 접근성 강화 ,
통합신공항과의 연계 등을 감안해 반드시 관철시켜가겠다 ” 고 밝혔다 .
편집국
경북 새 소식 ! 웅도 경북의 저력 ! - 경북중앙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