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식사량과 질만큼 만성질환 연관성 높다


끼니 횟수, 결식유형, 야간 공복 시간 등과 만성질환 연관성 분석

규칙적인 세끼, 긴 야간 공복 시간, 끼니별 에너지 섭취 비율 조절이 만성질환

위험 낮춰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한국교원대학교(이경원 교수팀)와 함께 질병관리청

에서 발간하는 국민건강영양조사(2016~2020) 자료를 활용해 식행동

(식사방식)과 만성질환 간의 관계를 분석했다.

 

그동안 식사량과 질의 중요성은 잘 알려져 많은 사람이 건강 식단을 실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번 연구는 식사량이나 질만큼 식행동도 건강에 큰 영향

을 끼치는 요인임을 밝히기 위해 하루 끼니 횟수, 결식유형, 야간 공복 시간과 

식사 시간 등 식행동이 대사증후군, 당뇨 등 만성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국가 보건의료 자료를 분석해 확인한 것이다.

 

국민건강영양조사 내 설문조사*와 검진, 혈액과 소변검사 자료를 수집해 하루 끼니 횟수, 결식유형(아침·점심·저녁 결식)과 대사증후군**의 연관성, 야간 공복 시간, 식사 시간, 끼니별 에너지 섭취 비율과 당뇨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 19세 이상 한국 성인 22천여 명을 대상으로 흡연, 음주, 신체활동, 정신건강 등을 조사한 내용

** 복부비만, 고혈당,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HDL-콜레스테롤혈증 5가지 요인 중 3가지 이상에 해당할 경우 대사증후군으로 정의

 

분석 결과, 하루 세 끼를 먹는 남성보다 두 끼를 먹는 남성에서 대사증후군 위험이 1.16배 증가했다. 대사증후군 주요 인자 중 하나인 복부비만은 1.21, 이상지질혈증 위험은 1.16배 높았다.

 

두 끼를 먹는 경우, 점심 또는 저녁을 굶었을 때보다 아침을 굶었을 때 남성의 대사증후군 위험이 1.22배 높았고 특히 복부비만(1.28)과 이상지질혈증(1.20) 위험률이 높았다. 여성도 아침을 굶었을 때 고혈당 장애(1.18), 이상지질혈증(1.19), HDL콜레스테롤혈증(1.14) 위험이 증가했다. 그러나 저녁을 굶으면 고혈당 장애 위험이 0.74배 줄어드는 것으로 확인됐다.

 

야간 공복 시간*을 분석한 결과, 야간 공복 시간이 가장 긴 집단이 가장 짧은 집단보다 당뇨 위험이 남녀 평균 0.76배 줄었다. 마지막 식사 시간이 오후 9시 이후일 때 당뇨 위험은 1.19배 증가했다.

* 24시간에서 하루 중 첫 번째 식사와 마지막 식사 간 간격을 뺀 시간

 

또한, 끼니별 에너지 섭취 비율의 경우, 저녁 식사(18~21)40% 이상일 때 당뇨 위험이 1.36배 높아졌다. 야간 식사(21시 이후)의 에너지 섭취 비율은 25% 이상이면 여성에서만 당뇨 위험이 1.61배 높게 나타났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에 논문으로 게재됐으며 구체적인 국민 건강 식생활 지침과 실천방안을 마련하는 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농촌진흥청 식생활영양과 유선미 과장은 무엇을 얼마나 먹느냐도 중요하지만 어떻게 먹느냐, 즉 식행동도 우리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식행동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라며, “앞으로도 국민 건강증진을 위해 한국인의 식사 유형을 반영한 건강 식이 요인을 발굴하고, 이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연구를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newsgumi.kr/news/view.php?idx=28931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케미 오코노미야끼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