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은 가계부채 관리를 위한 당국 지침에 따라 대출금리를 올릴 수밖에 없었다는 입장이지만, '대출 조이기'를 명분 삼아 과도하게 금리를 조정했다는 의심도 나온다.
가계부채 관리라는 정책 목표와 상관없이 '이자 장사'에 몰두한 정황들도 나타났다.
금융당국이 적극적인 자금 공급을 주문했던 중소기업 대출금리(물적담보대출, 신규 취급액 기준) 공시를 살펴봐도 주요 은행의 우대금리 축소세가 두드러진다.
우리은행의 작년 12월 기준 우대금리는 9월 대비 0.48%포인트, KB국민은행은 0.34%포인트 줄어들었다.
이런 영향으로 정책적으로 대출을 조일 필요가 없는 부분들에서도 대출금리 인하 효과가 반영되지 않았다.
가계대출 목표치를 충족시키기 위해 대출을 조여야 했던 시중은행과 달리 운용상 여유가 있던 지방은행들마저도 덩달아 우대금리를 대폭 깎는 모습도 나타났다.
금감원 관계자는 "금리 인하 효과가 자영업자나 소비자들에게 제대로 전달이 되지 않는다는 지적들이 많아 금리 산정에 부당한 것은 없는지, 오류는 없는지 등을 살펴보려는 것"이라고 취지를 설명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2024.11.3
◇ 은행들 작년 최대 이자이익…정치권·금융당국 인하 압박
은행권은 시장금리 하락에도 이자이익이 늘어나면서 4대 금융지주는 사상 최대 실적 기록을 새로 썼다.
4대 금융의 지난해 이자 이익은 총 41조8천760억원으로 전년(40조6천212억원)보다 3.1% 늘어나 사상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작년 4대 금융 순이익 역시 모두 16조4천205억원으로 사상 최대였다.
정부의 가계대출 관리 정책이 예대 금리차를 키워 은행만 배를 불린다는 비판이 거세지자 정치권과 금융당국은 은행권에 대출 금리 인하 압박에 나섰다.
더불어민주당은 지난해 말 은행이 각종 보험료와 출연료 등을 가산금리에 넣어 대출자에게 떠넘기지 못하도록 하는 '은행법 개정안'을 내놨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도 지난달 시중은행장을 만나 "어려운 때일수록 서민과 소상공인에 희망이 되어달라"고 당부했다.
금융당국 수장들도 새해 들어 가산금리 인하 필요성을 여러 차례 언급했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지난달 22일 "작년에 기준금리를 두 차례 인하했음에도 가산금리 인하 속도나 폭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은 측면이 있다"며 "은행들이 새해 기준금리가 떨어진 부분을 반영해야 할 시기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달 18일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 회의에서도 "올해 신규 대출 금리에 있어서는 인하할 여력이 분명히 있다"면서 "이를 점검하겠다"고 말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도 앞서 지난달 16일 금융 상황 점검 회의에서 "가계·기업이 두 차례 금리 인하 효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대출 금리 전달 경로와 가산금리 추이를 면밀히 점검하라"고 지시했다.
편집국
경북 새 소식 ! 웅도 경북의 저력 ! - 경북중앙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