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겨울 끝 ! 모기 감시 시작
- ’25년 3월~10월,
다부처협력을 통해 전국 169개 지점에서 모기감시 수행
[경북중앙신문]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3월 말부터 13개 검역 구역(공항 및
항만)과 남부지역 4개 시도(제주, 부산, 경남, 전남)를 시작으로 2025년 국내
감염병 매개모기 감시사업을 시행한다.
모기가 전파하는 주요 감염병은 일본뇌염, 말라리아, 뎅기열, 황열, 지카바이
러스 감염증, 웨스트나일열 등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 감염병을 매개 할 수 있는 모기는 전국적으로 서식하고 있다.
국내 모기 매개 감염병으로는 일본뇌염과 말라리아가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집중 감시를 수행하는 한편, 뎅기열 등 해외 감염병의 유입
에 대비하여 전국적인 매개체 감시 사업도 매년 수행하고 있다.
질병관리청에서는 매개모기감시를 위해 국방부, 농림축산식품부, 지자체(보건환경연구원, 보건소) 및 민간(기후변화 거점센터)과 협력하여 3월부터 10월
까지 전국 169개 지점*에서 감시를 수행한다.
* 질병관리청(13개), 국방부(21개), 농림축산식품부(18개), 보건환경연구원(14개),
보건소(70개), 기후변화 거점센터(33개)
감시사업에서는 유문등*을 이용하여 채집된 모기를 모기 지수**로 환산
하고, 발생 변화(평년, 전년, 전주 대비 변화)를 확인하여 유전자검사를 통해
병원체 감염 여부를 조사한다.
* 야행성 곤충이 좋아하는 350~370nm 파장의 빛을 내보내 모기를 유인하여 포집하는
기구 ** 모기지수(Trap Index, TI) = 채집된 모기 수 / 유문등 수 / 채집 일 수
모기 지수 및 병원체 확인 결과 등을 기준으로 모기 방제와 예방을 위한
주의보 및 경보를 발령하고, 감시사업 결과는 질병관리청 감염병 누리집*
에서 ‘병원체 및 매개체 감시 주간 정보’ 등으로 공개한다.
* 질병관리청 감염병누리집/발간자료/실험실소식지 : http://www.npt.kdca.go.kr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기후변화에 따라 우리나라가 아열대화 되어가면서 모기
발생 시기가 점차 빨라지고, 발생량 또한 증가하고 있다”고 밝히며,
“질병관리청에서는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적극적인 매개모기 감시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누리집 등을 통해 제공하고 있으니, 지자체 등에서는 모기감시 정보를 바탕으로 유충 발생 지점 등에 대한 집중 방제를 수행하고,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예방 홍보·교육을 통해 매개모기 감염병 발생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노력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 질병관리청 제공-
편집국
경북 새 소식 ! 웅도 경북의 저력 ! - 경북중앙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