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위클리 건강] 한중일에 유독 많은 위암.

'예방 효과' 최고 식습관은...

송고시간 2025-05-24 07:00

아시아인 427만명 메타분석…
"과일 섭취량 많으면 위암 11% 예방 효과"
"과도한 소금 섭취는 위암 위험 최대 97%↑…
통과일 매일 먹고 저염식 권장"

한중일에 유독 많은 위암

연합뉴스 [자료 사진]

(서울=연합뉴스) 김길원 기자 = 위암은 한국, 일본, 중국 등 유독 동아시아인에게 발생이 많은 암종이다. 전 세계적으로 매년 발생하는 100만명 이상의 신규 위암 환자 중 60% 이상이 동아시아에 몰려 있다.

이 중에서도 한국의 위암 발생률은 단연 세계 1위이고, 이는 미국의 10배 수준에 해당한다.

의학계에서는 이런 이유를 밝히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이다.

지금까지 연구에서는 흡연, 음주, 신체활동 부족, 비만, 붉은 고기 및 가공육 섭취, 염분 과다 섭취, 가족력,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 등의 위험 요인이 위암 발생에 복합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됐다.

여기에 더해 한국인의 경우 맵고 짠 음식을 즐기는 특유의 식습관이 위암 발생 위험을 높인다는 분석도 있다.

하지만 식습관만 보자면 아직도 어떤 음식이 위암을 부추기고 또 예방 효과를 내는지 명확하지 않다. 이에 연구자들은 위암 발생이 많은 동아시아 인구를 대상으로 한 코호트(역학조사) 연구가 그 실마리를 풀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최근에는 이런 방식으로 동아시아인에게서 위암 위험을 낮추거나 높이는 식습관을 새롭게 조명한 연구 결과가 제시됐다.

서울의대 예방의학교실 강대희 교수, 중앙대 식품영양학과 신상아 교수 공동 연구팀은 국제학술지 '역학 리뷰'(Epidemiologic reviews) 최신호에서 아시아 인구를 대상으로 시행된 국내외 30편의 코호트 연구 논문을 메타 분석한 결과 과일 섭취량이 많은 그룹에서 위암 발생 위험이 낮은 연관성이 관찰됐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연구에서 분석 대상으로 삼은 아시아인은 총 427만명이었다.

연구팀은 과일 섭취량이 가장 많은 그룹이 가장 적은 그룹에 견줘 위암 발생 위험이 평균 11% 낮은 것으로 추산했다. 섭취량은 코호트 연구 유형별로 비교 조건이 달랐기 때문에 이를 정량화해 통합적으로 분석했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연구팀은 과일에 풍성한 비타민C, 폴리페놀, 식이섬유 등의 항산화 및 항염증 성분이 위암의 주범 중 하나인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이 만들어내는 발암물질(N-니트로소 화합물)의 형성을 억제함으로써 위암 예방 효과를 내는 것으로 추정했다.

또한 이들 성분이 위 점막과 유전자(DNA)의 손상을 막고, 위축성 위염의 위암 진행을 막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봤다.

신선한 과일

연합뉴스 [자료 사진]

반면 과도한 소금 섭취는 위암 발생 위험을 최대 97%나 높이는 요인으로 지목됐다.


과도한 소금 섭취가 위 점막 세포의 비정상적인 증식과 변형을 유도하고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에 대한 위 점막의 민감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암 발병 위험을 높이는 것이다. 또 위 내 염분 농도가 높아지면 점막 자극을 통해 장상피화생(위암 전 단계로 위점막이 소장·대장의 점막과 비슷하게 변하는 증상)을 유도할 수도 있다.

그동안의 연구에서 고염(高鹽) 섭취가 위 점막에 직접적인 손상을 주고 만성 염증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난 것도 비슷한 맥락이다.

다만 소금의 경우 이번 분석에 쓰인 코호트 연구 논문이 3편으로 적어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는 게 연구팀의 입장이다.

과일과 소금을 제외한 채소, 육류, 콩 제품, 차, 커피, 식사 패턴 등의 경우 이번 연구에서는 위암 발생과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연관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위암 예방을 위해서는 매일 과일과 채소를 총 400g 이상 섭취하고, 음식을 만들 때 소금을 줄이는 식습관을 길들여야 한다고 권고했다.

신상아 교수는 "세계암연구기금(WCRF)이 권장하는 하루 과일·채소 400g을 과일에만 적용하면 하루 250∼300g 이상에 해당한다"면서 "과일의 종류와 상관없이 매일 중간 크기로 2∼3개 또는 약 2컵 분량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다만 과일은 주스 형태보다는 통째로 먹는 게 바람직하다.

신 교수는 "과일 주스는 식이섬유가 부족하고 당분 섭취량이 많아 혈당을 급격히 올릴 수 있으므로, 신선한 통과일을 섭취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라며 "식사 중간 간식이나 식후 디저트로 과일을 곁들이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bi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경북중앙신문은 연합뉴스와 기사 제휴 매체입니다.
1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newsgumi.kr/news/view.php?idx=30663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케미 오코노미야끼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