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KIEP, "내년 유로지역 불황에 가까운 저성장 전망" - 우리의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
기사수정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내년도 유로지역이 사실상 불황에 가까운 낮은 경제성장을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또 미국과 일본은 1~2%대의 성장세를 보이고, 중국은 성장둔화는 불가피하지만 경착륙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평가했다.

KIEP는 7일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위기관리대책회의에서 보고한 '2012년 주요국의 경제전망 및 정책이슈'를 통해 "독일과 북유럽 국가들도 유로지역 재정위기 여파로 올해 2분기부터 동반 저성장 국면에 진입했다"며 현 유럽 경제상황을 진단했다.

이에 따라 KIEP는 내년에 유로지역 주요 회원국들은 1% 미만, EU와 유로 지역은 0.5% 내외의 성장률로 사실상 불황에 가까운 저성장을 보일 것을 내다봤다.

또 유럽 국가들의 강도 높은 재정긴축과 높은 실업률 및 금융시장의 불안이 내수 침체로 이어지고, 수출 수요도 세계경기 둔화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위험요인으로는 위기국의 재정건전화와 유럽은행의 자본 확충, 그리스의 갑작스런 디폴트 선언과 유로 탈퇴 여부 등을 꼽았다.

KIEP는 내년 미국 경제는 잠재성장률(2.4∼2.7%)을 밑도는 1% 후반대의 저성장세가 지속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유럽 재정위기가 심화되면 유로국가의 내수 축소와 달러화 강세 등으로 성장률이 전망치보다 더 낮아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위험요인으로는 의회다수당 상하원 분리에 따른 오바마 정권의 정책추진력 약화와 2012년 대선, 유럽 재정위기로 인한 미국 경제 회복의 지연 가능성 등을 들었다.

일본은 해외경기 감속으로 수출회복이 더딘 가운데 대지진 등의 복구 수요로 내수중심의 완만한 성장세(2%대)를 보일 것으로 예상됐다.

KIEP는 "본격적인 복구수요로 공공투자, 정부소비, 주택투자는 증가할 전망"이라며 "그러나 해외경기 둔화와 엔고로 수출 주도의 경기회복엔 다소 한계가 있을 것"으로 설명했다.

일본 경제의 위험요인으론 엔고 지속과 기업의 해외이전 증가로 인한 산업공동화 우려, 증세 조치에 따른 소비위축 등을 지적했다.

KIEP는 내년도 중국 경제는 약간의 성장세 둔화는 불가피하겠지만 8% 중반 내외의 안정 성장을 유지하며 경착륙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봤다.

중국 정부가 대외수출의 위축에서 오는 충격을 내수확대 정책으로 완화하고, 기존 투자주도형 성장패턴을 소비주도형으로 전환할 것으로 예측했다.

다만 경기둔화 심화와 부동산 경기 침체, 지방정부 부채, 중소기업 도산 등이 위험요인으로 상존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KIEP는 우리 경제와 관련해 "유럽 재정위기가 심화될 경우 국제금융시장의 신용경색과 우리나라에서의 외국인 투자자금의 이탈이 우려되므로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또 "유로지역 재정위기, 미국의 더블딥, 중국의 경착륙 등이 현실화될 경우 우리나라의 수출 부진이 예상되므로 이에 대한 대비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KIEP는 "한ㆍ미, 한ㆍEU FTA를 활용해 우리의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며 "외국인직접투자를 적극적으로 유치하고, 미국 및 유럽시장에서 중국과 일본 등 경쟁국 대비 가격경쟁력을 높이는 등 FTA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안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newsgumi.kr/news/view.php?idx=9128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케미 오코노미야끼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